벌레잡이 식물들은 정말 너무나 신비스러워 보인다.
도대체 이식물들은 어떻게 먹이를 사냥하는 것일까?
벌레를 잡은 다음 이 못된식물들은 과연 무슨 짓을 하는걸까?
앞을 나오는 끔찍한 이야기를 꾹 참고 잃을수 있을까?
계속 잃어보자.궁금증이 모두 풀릴테니까.
----------------------------------------------------------------------
끈끈이주걱
끈끈이 주걱은 오스트렐리아,미국을 비롯해서 전세계에서 발견된다.
끈끈이주걱이 곤충을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인트:노랜색으로 곤충들을 유혹한다
포인트2:끈적끈적한 촉수에는 수천 개의 끈끈이 방울이 달려있다.
사냥하는법:
a)먹이(기어다니는 벌레 또는 파리)가 끈끈이(ㅡㅡ;)에
붙고 만다.
b)촉수가 천천히 음직여 동물을 가둔다.
(이틀이나 걸림)
c)소화액이 분비되어 희생된 동물의 몸을
산채로 녹인다.
.........................................................................................................
물레방아풀
물레방아풀은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연못 속에서 살면서 작은 생물들을 잡아먹는다.
포인트:물레방아 모양의 잎
지름 2mm
사냥하는법:
a)희생자(먹이,즉 물에사는 벌레)가 방아쇠털을
계속해서 두번 건드린다.
b)그러면 잎의 양 옆이
닫힌다.
c)갇힌 물은 모두 물레방아풀 속으로
흡수된다 여기에 같힌 희생자도 소화된다.
.........................................................................................................
벌레잡이통풀
벌레잡이통풀은 미국,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한다.
1.미끄러운 표면.
비누처럼 미끄럽다(ㅡㅡ;)
이제 탈출은 불가능!
2.아래로 굽어 있는
털들 때문에 미끄러워서
벌레가 기어올라가지
못함.
3.먹이가 작은 연못에
빠진다 물론 그연못은
보통의 평화로운 연못이
절대아니다.
4.소화샘이 먹이를
녹이기 위해 산을
내뿜는다.
.........................................................................................................
코브라백합
미국에 서식함
코브라 백합은 마치 공격하려고
대가리를 쳐들고 있는 코브라와
닯았다.멍청한 작은 벌레들이 '뱀'의 '아가리' 속으로
기어들어가는 것이다. 그 벌레들은 도대채 생각이
있는 것을까?ㅡ.ㅡ;;
(과학자들을,코브라백합의 무서운 모습은 배고픈 동물을 쫓
아 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단순히 우연의 일치라고 생각한다.)
1.코브라 백합 안에 들어오면, 빛이 비치는
윗 부분이 있다.벌레들은 그것을 나가는 입구라고
생각하고 계속 올라간다.생각이 있는건지,없는건지...
벌레들은 빛을 향해 기어가거나 날아가려고 한다.
그러나 탈출은 불가능 하다.
2.벌레들이 소화약 연못 속에 빠진다.
----------------------------------------------------------------------
위에서 소개한 벌레잡이 식물들보다 더무서운 벌레잡이 식물이 하나
더 있다...
파리지옥
겁낼 건 없다.파리지옥은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 주와 사
우스캐롤라이나주에만 사니까.파리지옥이 먹이를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파리가 잎의 방아쇠털을
건드린다. 아직은 아무일도
잃어나지 않는다.
2.파리가 또 다른 털을
건드렸다.이크 이제 드디어
잎속에서 전기 신호가 일어난다.
특수 세포에서 엑체가 모조리 빠져
나가고 그와 동시에 잎이 접히기
시작한다.
3.0.5초 후,잎 가장자리의
가시들이 곤충을 가둔다.
마치 상어가 먹이를 물고
입을 꽉 다문 것처럼,
이제 파리는 꼼짝없이
갇힌 것이다!
4.30분 정도가 지나면 잎이 파리를
꽉 쪼인다.그러면 이제 파리는 산채로 소화된다.
이 못된 식물이 끔짝한 식사를 완전히 끝내려면
2주가 걸린다나!
가끔 파리지옥은 말벌처럼 커다란 곤충을
잡아먹을 때도 있다.
그러나 말벌은 소화시키기에
너무 크기 때문에 소화액이
모자란다.그러면 세균이
말벌의 시체를 먹기
시작하고,그 과정에서 잎도
죽는다.그러나 파리지옥은
여전히 살아남아서 다음 번
사냥감을 기다린다.
★요건 몰랐을걸!
찰스 다윈(Charles Darwin:1809~1882)은 파리지옥을 무척
좋아 했다고 한다(약간 맛이갔을지도 모르죠).1870년대
다윈은 파리지옥을 가지고 여러가지 실험을 했는데,
파리지옥이 벌레를 녹이고 그즙을 빨아 먹는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다윈은 이렇게 끔찍한 파리지옥을
'세상에서 가장 멋진 식물'이라고 했다지 뭔가!
(진짜 맛이간듯...)
----------------------------------------------------------------------
이걸로 벌레잡이 식물 편이 끝났습니다.
다음에는 식물의 독에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