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X퀴즈(총3문제)

① 조선 시대에도 공휴일이 있었을까요?

1. O(있다.) 2. X(없다.)

② 드라큘라 백작은 실제로 존재했을까?

1. O(존재했다.) 2. X(존재하지 않았다.)

③ 고대에도 자동 판매기가 있었을까?

1. O(있었다.) 2. X(없었다.)

객관식퀴즈(총3문제)

① 고대 올림필에 출전한 선수들은 어떤 옷을 입었을까?

1. 중요한 부분만 가리는 간단한 옷을 입었다.
2. 정해진 체육복을 입었다.
3. 알몸으로 경기를 했다.(≥∩≤)
4. 입고 싶은 옷을 입었다.

② 봉수의 연기를 똑바로 올리기 위해서 사용 했던 것은?

1. 소ddong
2. 말ddong
3. 닭ddong
4. 이리(늑대)ddong

③ 면허증이 있어야 자전거를 탔던 나라는?

1. 미국
2. 영국
3. 북한
4. 중국

답과 해석입니다.(알기 쉽게 해놓았습니다.)

O, X 퀴즈쪽

1. 답: 1번. 조선 시대 관리들도 공휴일에는 쉬었습니다.

해석: 요즘 어른들이 매일 회사에 나가는 것처럼 조선 시대 관리들도 아침마다 출근을 했습니다. 물론 일 년 내내 휴일 없이 일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나라에서 정한 공휴일이 있었는데 바로 설날, 대보름, 단오, 추석과 같은 명절날과 매월 1일, 8일, 15일, 23일이었습니다. 또한 동지, 하지, 춘분, 추분처럼 24절기에 해당하는 날도 쉬었습니다.
하지만 휴일이라고 해서 매번 쉴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을 할 때도 있었다고 합니다. 대개 말단관리들은 모든 휴일을 합쳐 일년에 20정도를 쉬었다고 합니다.

잠깐 상식하나더!: 지금은 설날이나 추석 모두 3일씩 쉬지요. 그러나 조선 시대 관리들은 설날에는 일주일, 추석에는 단 하루를 쉬었다고 해요.

2. 답: 1번. 블라드 체페슈는 루마니아의 민족적 영웅이었습니다.

해석: 소설 속에서 드라큘라 백작으로 나오는 블라드 체페슈는 터키의 침입을 막기위해 공포 정치를 폈던 루마니아 민족의 영웅이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터키인을 비롯하여 강도나 살인을 저지른 사람을 잡아 잔인하게 처형한 뒤 수천 명씩 길거리에 전시하는 등 잔인하고 난폭한 행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루마니아에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 중에 '생전에 죄를 많이 지은 사람은 죽어서도 그 영혼이 천국으로 가지 않고 세상을 떠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런 전설과 블라드 체페슈의 악독한 행동이 합쳐져서 '드라큘라'라는 인물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잠깐 상식하나더!: 소설<흡혈귀 드라큘라>는 아일랜드의 작기 브람 스토커가 블라드 체페슈를 모델로 하여 1879년에 내놓은 작품이에요.

3. 답: 1번. 고대에도 자동 판매기가 있었습니다.

해석: 고대 그리스의 어느 사원에는 돈을 넣으면 성수가 나오는 신기한 자동 판매기가 있었는데, 헤론이 만든 이 성수함이 세계 최초의 자동 판매기 였습니다.
그 후 여러 종류의 자동 판매기가 만들어졌는데, 1882년 리처드 카릴리라는 사람이 만든 자동 판매기는 국가에서 금지하는 책들을 파는 것이었습니다.
1902년에는 혼 앤드 하다트 회사가 필라델피아에 자동 판매기식 식당을 만들기도 했답니다. 또한, 1909년 니코록 회사는 공중 화장실의 문에 돈을 넣어야만 열리는 장치를 설치했고, 1971년에는 '일렉트라 바' 라는 칵테일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도 생겨났습니다.

잠깐 상식하나더!: 자동 판매기 중에는 속옷, 금붕어, 지렁이부터 개똥을 치우는 청소 세트에 이르기까지 아주 특이한 것을 파는 자동 판매기도 있어요.

객관식 퀴즈쪽

1. 답: 3번. 벌거 벗고 경기를 했습니다.(≥∩≤)

해석: 고대 올림픽은 남자들만의 축제였습니다. 여자는 참가가 금지되었고, 관람하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모두 알몸으로 경기를 했으며 신발조차 신지 않았답니다. 이 이유로는 모든 구속과 형식으로부터 해방된 자유의 정신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 여자의 참가를 금하기 위해 선수들이 옷을 벗고 경기를 했다는 설 등 여거 가지가 전해 내려옵니다.
대회의 우승자는 올리브의 잎으로 만든 관을 받았는데, 수상자들은 이를 매우 자랑스럽게 여겼습니다.

잠깐 상식하나더!: 당시 여자들은 경기 참가는 물론, 관람조차도 금지되었어요. 만일 이를 어기면 신성한 신을 모욕한 죄로 낭떠러지에서 떨어뜨려 죽였다고 해요.

2. 답: 4번. 이리ddong 을 사용 하면 연기가 똑바로 올라갔다고 합니다.

해석: 봉수란 높은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불이나 연기를 올려 외적의 침입 등 긴급 사태를 알리는 오래 된 통신 수단입니다. 오늘날의 사이렌과도 같은 것으로 밤에는 횃불, 낮에는 연기로 신호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봉수를 다른 말로 이리불(狼火:랑화) 또는 이리연기(狼煙:랑연)라고도 하는데 이리ddong을 땔나무에 섞어서 불을 피우면 연기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똑바로 올리가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또한 이리ddong에는 인이 많이 섞여 있어서 불빛이 푸를 뿐 아니라 밤에 멀리까지 보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이리ddong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대신 소ddong이나 말ddong을 사용 했습니다.

잠깐 상식하나더!: 봉수는 평상시에는 횃불 하나, 적이 나타나면 횃불 둘, 적이 국경 가까이 오면 횃불 셋, 적이 국경을 침범하면 횃불 넷, 서로 싸우게 되면 횃불 다섯을 올려 알렸어요.

3. 답: 3번. 북한에서는 면허증이 있어야 자전거를 탈 수 있었습니다.

해석: 자동차를 운전하려면 면허증이 있어야 하듯이 북한에서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탈 때도 면허증이 필요했습니다. 그것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편 집배원같이 특수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 저전거를 탈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1994년부터 북한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자전거를 많이 보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특수한 직업을 가진 사람이 아닌 일반인들도 자전거를 가지게 되었고, 이 때부터 자전거 면허증이 사라졌습니다.

잠깐 상식하나더!: 북한에서는 자전거가 매우 비싼 물건이에요. 보통 북한의 근로자가 받는 평균 월급의 3배나 된다고 해요.

이제 이해가 가셨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