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課 此処に 机が あります。

고꼬니 쯔꾸에가  아리마스
此処に 机 が あります。
소꼬니 이 스가  아리마스
其処に 椅子が あります。
아소꼬니 나니가  아리마스까
彼処 に  何 が ありますか。
찌이사이 하꼬가 아리마스
小 さい 箱が あります。
아나따노 우찌와  도꼬 니  아리마스까
あなたの うちは 何処に ありますか。
아노   각꼬-노 소바니  아리마스
あの 学校の 側に あります。
각꼬-노 도나리니 나니가 아리마스까
学校の 隣 に 何が ありますか。
홍 야가  아리마스
本屋が あります。
홍 야노 나까니와 이로이로노  홍가  아리마스
本屋の 中 には 色 々の 本が あります。
다나노 우에니와 나니가  아리마스까
たなの 上には 何が ありますか。
에 홍가  아리마스
絵本が あります。
시따노  다나니와  잣씨가  아리마스
下 の たなには 雑誌が あります。
소노 소바니와 난니 가  아리마스까
その 側には 何にが ありますか。
난니모 아리마 셍
何にも ありません。
<어귀해석>
此処に: 여기에, 机が: 책상이, あります: 있습니다, 其処に: 거기에, 彼処に: 저기에, 何が: 무엇이, うちは: 집은, 何処に: 어디에, 側に: 옆에·곁에, 隣: 이웃, 本屋: 책방, 中には: 속에는·안에는, 色々: 여러 가지의, たな: 선반, 上には: 위에는, 絵本: 그림책, 下: 아래, 何にも: 아무 것도, ありません: 없습니다.
[주의]‘中’ 자를 나까(中)라고 발음할 때는 [안, 속] 하는 뜻이고, 한가운데를 말 할 때에는 ‘まん中(만 나까)’라고 한다.
<문법>
(1) 대명사(代名詞)······此処(여기), 其処(거기), 彼処(저기), 何処(어디) 등으로 장소를 가리킨다.
(2) 조사(助詞)······[に] 는 곳을 가리키는 대명사, 또는 명사 아래에 올 때는 [위치]를 뜻한다.
[예] 此処に(여기에), 東京に(도오꾜오에), 学校に(학교에), うちに(집에).
또 [が] 가 주격 조사(主格助詞) 일 때는 [~이·~가] 의 뜻이 된다.
[예] 私が(내가), あなたが(당신이), 本が(책이), 何処が(어디가)
(3) [あります]······원형(原形)은[ある]. 뜻은 [있다·존재한다] 인데, 사람이나 동물에는 TM이지 않는다.
[あります]의 부정은 [ありません]. 사람에게 쓰일 때는 [유무]를 뜻한다.
<한자>
此処(여기), 机(책상), 其処(거기), 彼処(저기), 何(무엇), 小さい(작다), 側(옆), 隣(이웃), 本屋(서점), 中(안), 色々(여러가지), 上(위), 絵本(그림책),  下(아래), 雑屍(잡지)
<회화>사업 경기(景氣)나 안부(安否)를 물을 때
長井(나가이): 田中さん この頃 如何ですか。(다나까상 고노고로 이까가데스까: 다나까씨, 요즈음 재미가 어떻습니까?)
田中(다나까): はい, おかけさまで 相変わらずです。(하이, 오까게사마데 아이까와라즈데스: 예, 덕택으로 여전합니다.)
長井: それは けっこですな。(소레와 겟꼬데스네: 그것은 다행이군요.)
田中: 木村さんの お母さんは 如何ですか。(기무라상노 오까-상와 이까가데스까: 기무라씨의 어머님은 안녕하십니까?)
木村(기무라): はい, おかげさまで 元気です。(하이, 오까게사마데 겡끼데스: 예, 덕택으로 잘 계십니다.)
田中: それは けっこうですね。(소레와 겟꼬데스네: 그것은 다행이군요.)

음.........연습문제는 쓸모가 없어진 것 같아서 안넣었습니다.

안맞는 부분이 있더라도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