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안녕하세요>- </
쿠쿠= - = KPW 초기때부터 매우매우 좋아햇는대.;
글쓰는건 이번이 처음[퍼억!]
매번 와서 캐릭터 기술표만 보구 콤보만 힐끔..[퍼버벅!]
우우..... 그냥 회원가입겸[그동안 안했다는게냐-ㅁ-!]
인사라도할까해서...= - =[먼 산]
움..... 요즘 비도오고 날씨가 이래따저래따..[뭐 태풍탓이지만.]
대략 더위는 즐기지만 추위를 멀리하기때문에
비는 영 달갑지 않군요...
문 꼭꼭 닫아놓고 01즐기고있다는.;
02가 좋긴한대... 킹씨가..[털썩..]
킹이 주캐인 저로썬 01바께길이....
03을 분명 얻었었는대[네오롬.;]
어디론가 순식간에 사라진= - =[도대체 어딧는게냐.;]
뭐 03 하고는 싶지만 네오롬이 안발견되는 이상
한동안 01에 매도를+ㅈ+
여성 캐릭터는 대부분 쓰는지라.... 요즘엔
샹폐씨랑 히나코 씨를 연습합니다만 잘안되네요.;;
누가 샹폐이나 히나코 잘하는분 조언을.;
잡기계는 영- [딴짓.]
아! 그리구 오락실가니 사쇼5가 나왓더군요+ㅈ+[언제얘기냐..]
대략 나코씨는 잘계시는지'ㅡ'[먼 산]
우우......쓰다보니 주저리 주저리...[두서가 없는게냐..]
여튼! 남은 방학 열심히들 보네세요...= - =~
03은 개인적으로 왠지 모르게 답답합니다.. 키 입력이라든가.
01 히나코는 독파를 못했고 샹페이는 타쿠마만큼 합니다.(그게 어느 정도인지 어떻게 아는건지..)
샹페이는 일단 주력이라 생각되는 것이.. 아.. 이름이 기억안납니다만..(공략보러 가기도 귀찮고..)
*커맨드 ↓↘→ + A or C 인 나몽파였나? 하여튼 이 기술이 극악입니다.
우선 데미지는 그저 그렇습니다. 하지만 빠른 발동으로 콤보에 들어가며(짤짤이는 안되지만..) 견제용으로도 좋습니다. 기본기가 막혔을 경우 딜레이 줄이기 용으로도 좋고요. 거기다가 강으로 쓰면 무적시간도 있어 여러모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그 다음.. 대공기인 천붕산.. 이였나? (→↓↘ + B or D) 말이죠. 슈캔이 되긴 하지만 넣을 만한 것도 없고 기게이지 낭비이니 패스.
데미지가 좋으며 판정은 그저 그렇습니다. 상대방이 날아오는 거 보고 써도 조금 판정 센 점프기본기와 맞부딫히면 동시에 맞는 듯 합니다. 아무튼 초필인 초백룡의 추가타로 쓰거나 어물쩡한 대공기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그다음 이것! 이름이 확실하게 기억에서 날아가서 절대 기억 안남! (↓↘→ + B)의 커맨드로 한바퀴 구른 다음 잡는 건데요. 일단 리치가 짧습니다. 결과적으로 잘 안잡힙니다. 또한 구를 때의 무적시간도 없어 얻어맞는 일이 허다하기도.. 별로 추천하진 않습니다.(근데 왜 적었수?) 만약에 히트했다면 (↓↘→ + B)의 커맨드로 추가타가 있습니다.
*아.. 이것도 기억이 안나네요.. (→↘↓↙←→ + A or C) 근접 잡기용도입니다. 효과는 이오리의 설풍과 같음(커맨드도 똑같은..) 경직이 조금 짧은 편이므로 빨리 대쉬해서 콤보를 넣어주면 효과가 큽니다.
그 다음이 초필들..
*대철인(↓↘→↘↓↙← + B or D).
데미지가 시원스럽지만 단독으로는 콤보에 연결되지 않는듯 하네요.. 콤보에 넣으려면 천붕산(?)에서 슈캔을 하거나 초백룡 이후의 추가타로 밖에 쓸 수 밖에 없겠네요. 그러나 초백룡 이후의 추가타로 넣으면 극악의 데미지를 자랑합니다. MAX판도 있지만 데미지 차이가 그렇게 많은것 같지는 않음.
*아.. 어째 기술 이름들이 이렇게 기억이 안날까.. (→↘↓↙←) X 2 + B or D 의 커맨드로 잡기 판정입니다. 가끔 기습용으로 잡거나 리버설로 사용해도 되겠죠.. MAX판은 무슨 확률로 2001히트가 뜬다고 합니다만..(실제로 사용했을시엔 한번도 못봄.. 다른 동영상에서는 봤지만..)
*초백룡(AC, ←↘ + C, ← + C)
콤보용 초필로는 단연 추천입니다. 처음에 AC를 눌러 발동 시키는 것까지 합쳐서 3번 입력해야 되는데 조금만 익숙해지면 금방 입력합니다.
마지막엔 와이어 현상으로 다시 날아오니 대쉬해서 천붕산을 사용하거나 기게이지가 있다면 거리를 보고 약이나 강으로 대철인을 사용하면 큰 데미지를 선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샹페이를 해본결과 그리 기게이지가 잘 모이지 않아 사용하기 힘들던..
부족한 부분은 ANALYSIS란에서 쿨랜드님의 공략을 참조하세요.
그럼 허접한 설명은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