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상대 종족이 어떤 종족이냐에 따라서 몇가지 다른 전략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스타크래프트를 잘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기본적인 사항들이 있습니다.
1.일꾼(프로브)을 많이 생산해야 한다.
2.끊임없는 정찰..옵저버를 이용한 끊임없는 정찰이 필요합니다. 상대방의 주력유닛이나 전술을 알아야 그에 상응하는 유닛을 생산할 수 있죠.
3.부대 단축키 지정..프로토스는 특히나 비싼 고급유닛들로 구성됩니다. 단축키를 지정해서 유닛컨트롤을 신경써줘야지, 그렇지 않으면 저그의 물량에 밀릴 수가 있습니다.
4.건물단축키지정...한번에 세마리의 라바를 변태시킬 수 있는 저그와는 달리 프로토스는 유닛생산을 게이트웨이 한곳에서 한번에 한개씩 밖에 할 수 없습니다. 또한 고급유닛들인지라 유닛의 빌드타임이 길죠. 한번 전투를 치른 후에 유닛보충속도가 저그보다 느리기 때문에, 항상 유닛생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5.고급기술들의 사용...테란이나 저그도 마찬가지이지만, 프로토스에도 고급기술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하이템플러의 힐루시네이션(복제)나 아비터의 리콜(소환), 스테이시스필드, 다크아칸의 마엘스톰, 피드백, 마인드컨트롤, 커세어의 디스럽션웹 등 수많은 마법들이 있으며, 이를 얼마나 잘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승패가 달려있다고 볼 수도 있겠죠.
일단 기본적인 사항들이 저렇고, 몇가지 전략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가림토스(하드코어 질럿러쉬..창시자 : 김동수)
이 전략은 저그의 사우론저그(물량저그)스타일을 상대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요즘 유행하는 하이엔드저그(초반방어에 이은 가디언, 디파일러 등의 고급유닛을 사용하는)에는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가림토스(하드코어질럿러쉬)는 주로 투게이트웨이 빌드를 사용합니다. 원게이트웨이가 저그의 땡히드라러쉬 등에 약하기 때문에, 다소 무리가 되더라도 투게이트를 올려서 질럿으로 상대방을 압박하는 것이죠.
이 전략의 장점은 두가지입니다.
첫번째, 본진간의 거리가 아주 가까운 경우, 초반 질럿러쉬만으로 이길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종족의 기본유닛중 질럿은 가장 막강한 체력과 공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이 초반유닛이지, 저글링이나 마린이 상대하기에는 벅찬 유닛이라는 것입니다. 초반에 질럿2~3기가 저그본진에 난입한 경우, 거의 대책이 없습니다.
이 상태에서 끝나지 않더라도, 저그는 질럿을 막기 위해서 채취한 자원을 저글링생산이나 성큰콜로니 건설등에 소비를 해야 합니다.
이렇게 되면 테크트리 자체가 늦어질 수 있죠.
저글링은 프로토스의 아칸에 엄청 약합니다.
즉, 이 전략은 초반에 끝장을 내버리던가, 아니면 저그보다 한발앞선 테크를 올려서 하이템플러의 사이오닉스톰이나 아칸으로 이긴다는 의도에서 시작합니다.
2. 신프로토스
투게이트하드코어질럿러쉬의 약점은 반대로 자원이 딸려서 테크가 늦어진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초반생산한 질럿이 몰살당한다던가..하면 거의 회복하기가 어려울 정도죠.
두개의 게이트웨이에서 값비싼 질럿을 계속 생산한다는 것 자체가 상당한 자원압박이니까요..
신프로토스전략은 바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 전략으로써, 저그에 대한 압박과 프로토스 자신의 테크트리..두가지를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빌드오더는....
7.5 파일런
9~10 원게이트웨이
10~11 어시밀레이터
14~15 파일런
원게이트웨이 완성 후 사이버네틱스코어
사이버네틱스코어 소환 후 시타델 오브 아둔 소환
아둔 완성 후 원게이트웨이에서 처음으로 질럿 한기 생산
두번째 게이트웨이 소환
두번째 게이트웨이 완성 후 질럿 발업
두개의 게이트웨이에서 꾸준히 질럿 생산
이 빌드의 특징은
1. 질럿생산을 시타델오브아둔 건설 후 처음 한다.
2. 발업 이후 질럿생산에 주력한다.
즉, 초반에 질럿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보면 저그가 초반에 저글링러쉬를 하면 막기 어렵겠죠.
이 전략은 요즘의 프로토스를 상대로 저그가 즐겨 사용하는 12드론앞마당 멀티를 하고 자원의 우위를 지켜나가는 저그를 상대하는 전술입니다. 그러니, 초반에 상대방이 저글링을 많이 생산한다고 하면, 이 전략을 밀어부치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하지만, 앞마당 저그라면, 이 전략은 상당히 강력합니다.
특히, 발업이 빨리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업질럿이라는 강력한 유닛이 초반에 나오죠.
위 빌드에 따라서 발업질럿이 8기 정도가 되면 최초 러쉬를 갑니다.
가면서..본진에서는 템플러아카이브를 소환하면 됩니다.
이 타이밍에 8기의 발업질럿은 거의 무적이나 다름없습니다.
막을 수 있는 유닛이 거의 없죠. 입구에 성큰콜로니 1~2기가 있다면, 그냥 무시하고 본진으로 들어가서 드론학살할 수 있습니다.
발업질럿 한부대(12기)는 성큰콜로니 4개를 뚫어버릴 수도 있을만큼 강력합니다.
이렇게 초반에 당한 저그는 드론이 많이 죽었기 때문에 자원이 딸리고, 테크트리도 늦어집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계속적인 방어를 위해서 어쩔수 없이 저글링을 생산하게 되죠.
이럴때엔 맨처음 나오는 하이템플러를 사이오닉스톰을 개발하지 말고, 무조건 아칸으로 합체해서 저글링을 학살하셔도 좋습니다.
아칸의 스플래쉬데미지는 저글링사냥에 아주 적합하죠.^^
3. 리버드래군 전략
이 전략은 대저그전이 아닌, 대테란전이나 대플토전에서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특히..리버는...테란의 골리앗과 함께 가장 다루기 힘든 유닛이라고 합니다.
리버는...프로게이머 중 기욤패트리선수가 가장 환상적인 컨트롤을 보여주죠. 셔틀에서 내리자 마자 스캐럽을 쏘고 다시 이동해서 셔틀에 올라타는...끊기지 않는 무빙을 보여줍니다.^^
하여간 리버드래군은 질럿템플러 조합보다도 손이 많이 가는 전략입니다.
드래군을 사용하게 되면, 멀티를 많이 하지 않는이상 하이템플러를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가스소비가 크기 때문이죠.
그래서 상대적으로 같은 테크트리를 사용하는 리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로보틱스계열이죠.
빌드오더입니다.
8프로브 파일런
10프로브 원게이트웨이
11프로브 어시밀레이터
13프로브 투게이트웨이
14프로브 파일런
16프로브 사이버네틱스코어 소환
이후 로보틱스퍼실러티 소환
리버는 주로 셔틀에 태워서 이동하게 되는데, 본진드랍을 갈경우 무조건 일꾼강제어택입니다.
쓸데없이 건물이나 공격하면 값비싼 리버를 잃을 수가 있으니, 무조건 일꾼을 공격해야 합니다.
일꾼사이에서 스캐럽이 두방정도만 제대로 터진다면,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됩니다. 거의 자원조달 자체가 어려워지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 전략에서의 핵심은 리버를 얼마나 잘 컨트롤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합니다.
4. 다이나믹프로토스
이 전술은 진짜 엄청나게 화려한 전술입니다.
커세어의 디스럽션웹과 다크템플러와 리버를 사용하는데요, 어떻게 보면 코닥프로토스(커세어+다크템플러)와 비슷하다고 볼수도 있겠지만, 드래군이나 리버등의 유닛들이 초반에 나오는 점이 약간 다릅니다.
빌드오더는...
7.5 프로브 파일런
9~10 원게이트웨이
10~11 어시밀레이터
14~15 파일런
원게이트웨이 후 사이버네틱스코어 소환
코어 완성 후 원질럿 생산
코어 완성되자 마자 스타게이트 소환
스타게이트 완성 후 원 커세어 생산--오버로드 사냥
두번째 커세어 생산하면서 플릿비히컨 소환해서 디스럽션웹 개발
이 전략의 핵심은 커세어로 최대한 오버로드를 사냥해서 상대방의 물량을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스포어콜로니가 있다면, 디스럽션웹으로 막은 후에 오버로드를 지속적으로 사냥합니다.
그 이후 드래군이나 리버 or하이템플러 등의 지상병력으로 러쉬를 갑니다.
성큰콜로니가 있다면, 디스럽션웹을 걸고 드래군으로 밀어부칩니다.
히드라(십중팔구 상대방은 무탈이 아닌 히드라러커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는 하이템플러의 사이오닉스톰으로 상대해주시고, 상대방이 언덕러커를 들어올 수가 있기 때문에 캐리어를 한대 정도 생산하신 후에 옵저버와 함께 언덕에 가져다 놓으시념 됩니다.
유의할 점은 원게이트웨이로 시갖하기 때문에 초기 지상병력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정찰을 통해서 상대방의 저글링 히드라가 많이 모였다면, 포톤캐논을 아낌없이 박아주시기 바랍니다.
이외에도 코닥프로토스(커세어+다크템플러)나 advanced 신프로토스 등의 전략이 있지만, advanced 신프로토스는 가스채취를 하는 프로브의 수를 계속적으로 조정(2~3)하는 등의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코닥프로토스는 전략 자체로 승리한다기 보다는 오버로드 사냥과 다크템플러의 견제로 자원적 우위를 지켜나가서 중반 이후의 승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초보자에게 어렵다고 생각이 들어서 뺴겠습니다.
여기에 더 많으니 참고하세요~_~
http://www.replays.co.kr/
[사실상 저도 퍼온거니 뭐라고하지마세요[퍽]